본문 바로가기
서울 여행

용산국제업무지구, 100층 빌딩 랜드마크의 세계 최대 수직도시 조성

by 일상행복 주식회사 2024. 2. 7.
반응형

용산국제업무지구, 100층 빌딩 랜드마크의 세계 최대 수직도시 조성

 

 

용산국제업무지구가 17년 만에 다시 추진되는데요.

최대 용적률 1,700%, 높이 100층 내외 빌딩을 지어 용산의 랜드마크로 조성하 나가겠다고 서울시는 밝혔습니다.

 

용산국제업무지구의 개발로 뉴욕 최대 복합개발지인 허드슨야드(Hudson Yards)의 4.4배 규모에 해당하여 세계 최대 수직도시를 만들겠다는 구상입니다.

 

서울시 내 손안의 서울의 "용산에 100층 랜드마크…세계 최대 수직도시 생긴다!"를 인용하여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소식을 전해 드리겠습니다.

 

용산국제업무지구는 2007년 31조원의 사업비를 투자하는 단군 이래 최대 도심 개발사업으로 추진되어 2016년 완공 예정이었습니다.

하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급속한 부동산 경기하락으로 2013년 사업추진을 접었던 적이 있습니다.

 

 

당시 용산국제업무지구는 대규모 복합단지를 건설하는 프로젝트로 출범했고, 111층에 높이 620m에 이르는 랜드마크 빌딩인 트리플원을 포함, 초고층 빌딩 67개를 세워 서울 도심 속에 최첨단 신도시를 건설하겠다는 목표가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용산국제업무지구는 서울 한강로 3가 일대의 용산철도정비창 부지(442,000)와 서부이촌동(124,000)을 합친 566,000㎡의 부지를 지칭합니다.

 

서울시의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계획(안)’을보면  올해 상반기 구역지정을 목표로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들어갑니다.

2025년 하반기 기반시설 착공을 시작으로 2030년대 초반에는 입주가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은 서울을 글로벌 탑 5도시로 올려놓기 위해 시가 추진 중인 ‘도시공간 대개조’의 핵심 프로젝트로, 비욘드 조닝(Beyond Zoning), 보행일상권, 도시·건축디자인 혁신, 정원도시 서울 등 도심복합개발을 위해 마련한 혁신전략이 한꺼번에 적용되는 최초 사례이기도 합니다.

실제로 세계 대도시 중에서도 도심부에서 50만㎡에 이르는 융복합 도시개발이 이뤄진 사례는 현제까지 없다고 합니다.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4대 핵심전략으로는 용도와 기능이 어우러진 융복합 국제업무도시, 자연과 보행중심의 입체보행 녹지도시, 서울형 탄소중심도시의 시작 스마트 에코도시, 시민과 세계인의 활력이 모이는 동행감성도시를 표방하고 있습니다.

 

용산국제업무도시는 최대 용적률 1,700%, 100층 내외의 랜드마크 빌딩을 짓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는데요.

업무와 주거, 여가문화 등 우리가 일상에 필요한 모든 활동과 이동을 한 건물 혹은 도보권 내에서 모두 해결할 수 있는 콤팩트시티를 구현하는 것입니다.

 

용도에 따라 국제업무, 업무복합, 업무지원 등 3개 존으로 구분하며, 개발지구 한가운데에 들어서는 국제업무존은 100층 내외의 랜드마크 빌딩이 들어서고 나머지 구역은 일반 상업지역 등으로 용도지역을 상향하여 용적률 900%가 되도록 계획합니다.

 

대규모 프로젝트인 만큼 단계적 개발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유연하고 창의적인 토지이용 계획도 마련됐다고 합니다.


‘국제업무존(88,557㎡)’에는 금융 및 ICT기업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프라임급 오피스와 함께 마이스(MICE), 호텔, 광역환승센터 등을 조성하고 랜드마크 최상층에는 전망시설과 어트랙션 등 복합놀이공간도 마련됩니다.

 

‘업무복합존(104,905㎡)’에는 용산전자상가, 현대R&D센터와 연계한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업무 및 기업지원시설이 입주하고, ‘업무지원존(95,239㎡)’에는 주거와 교육, 문화 등 지원시설이 들어서 국제업무지구의 윤활유 역할을 하게 됩니다.

 

아울러 지하부터 지상, 공중에 이르기까지 공간 전체를 입체적으로 활용하여 사업 부지면적(49.5만㎡) 100% 수준에 해당하는 녹지를 확보하게 됩니다.

지상공원 등 평면 녹지뿐 아니라 공중녹지(그린스퀘어), 순환형녹지(그린커브), 선형녹지(그린코리더) 등 수직 수평 녹지를 폭넓게 확보하며, 용산공원~한강공원~노들섬으로 이어지는 녹지보행축을 완성합니다.

용산역 남측 선로상부에 조성되는 8만㎡ 대규모 ‘공중녹지(그린스퀘어)’는 한강공원~용산역을 직선으로 연결하는 입체공원이자 용산국제업무지구를 대표하는 상징적 공간이 될 예정이며, 폭 40m, 연장 1㎞에 이르는 U자형 ‘순환형 녹지(그린커브)’는 국제업무지구 내 어디서나 사통팔달 접근할 수 있는 개방형 녹지로 조성되고, ‘선형녹지(그린코리더)’는 주변 시가지와 용산국제업무지구를 이어주는 보행, 통경축 기능을 하게 됩니다.

 

 

또한 환경과 교통분야 최첨단 기술을 도입해 2050년 탄소중립도시로 거듭나기 위한 탄소배출 제로지구로 운영하며, 에너지 자립도시를 실현한다는 계획입니다.

 

스마트교통수단 도입, 용산역發 공항철도 신설 등 첨단 대중교통 인프라 확충으로 용산지역 대중교통수단분담률을 현재 57%에서 70%까지 끌어올리는 한편 교통혼잡특별관리구역 지정 등 선제적 수요관리를 통해 발생교통량을 절반 수준으로 줄인다는 계획입니다.

 

그밖에 공유교통, 자율주행셔틀, 도심항공교통(UAM) 등 친환경 신교통수단을 도입하고 용산국제업무지구 내 내연기관차량 운행 단계적 제한, 전기차 충전인프라 확충 등으로 교통수단에서 비롯되는 탄소 배출을 대폭 줄여 나가게 됩니다.

 

업무복합존 45층에 1.1km 스카이트레일, 랜드마크 최고층 전망대와 공중정원을 설치합니다.

국제업무존 저층부에는 콘서트홀, 아트뮤지엄, 복합문화도서관 등을 배치해 공연, 전시, 체험을 즐길 수 있는 (가칭)서울아트밴드를 계획했으며, 중심부에는 국제설계공모를 통해 뉴욕 허드슨야드의 ‘베슬(Vessel)’과 같은 상징 조형물을 설치해 명소화합니다.

물과 녹지를 활용해 활력과 낭만이 흐르는 도시 경관도 연출하는데요.

무악재에서 용산을 지나 한강으로 흘러들었던 ‘만초천’ 물길의 흐름을 이어받아 수공간을 만들고, 용산국제업무지구에서 한강공원·노들섬까지 걸어서 이동할 수 있도록 강변북로 상부 덮개공원을 조성합니다.

또 국제업무존 중앙에 위치한 축구장 약 11개 규모(약 8만㎡)의 ‘공중녹지(그린스퀘어)’에는 야외공연장이 들어설 예정입니다.

 

 

17년 만에 다시 꺼내든 용상국제업무도시 지구의 개발계획, 사업이 성공적으로 마무리 된다면 용산을 넘어서 서울과 우리나라의 랜드마크가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다만, 무리한 추진으로 중간에 좌초되거나 사업비 증액으로 세금 낭비 등의 불상사가 일어나지 않길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