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변경상장이란 주식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유가증권의 종목이나 수량, 종류, 액면가 등을 변경하는 것을 말합니다.
변경상장하는 경우는 상호를 변경하거나 인적분할과 물적분할을 하는 경우, 액면분할을 하는 경우 등이 있습니다.
신주인수권으로 인한 변경상장을 하게 될 경우에는 수거래일 거래가 정지되기도 합니다.
신주인수권에 대한 내용은 아래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전환사채(CB), 신주인수권부사채(BW), 교환사채(EB) 차이점
전환사채(CB), 신주인수권부사채(BW), 교환사채(EB) 차이점
전환사채(CB), 신주인수권부사채(BW), 교환사채(EB) 차이점 전환사채(CB)는 일정한 조건에 따라 채권을 발행한 회사의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채권으로, 사채와 주식의 중간 형태를
childstock.tistory.com
728x90
반응형
'주식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 인수합병(M&A)이란? 기업합병 시 주가에 미치는 영향 (0) | 2022.01.25 |
---|---|
시장경보제도 - 투자주의종목이란, 투자경보종목, 투자위험종목 지정 및 해제조건 (0) | 2022.01.24 |
스톡옵션이란? 스톡옵션 행사 (0) | 2021.09.05 |
프로그램 매매란? 프로그램 매매로 차익거래와 비차익거래 (0) | 2021.08.21 |
공매도 환매수, 숏커버링이란? (0) | 2021.08.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