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일상행복 주식회사
IT 이야기

USB 포맷 형식 완벽 정리 – FAT32, exFAT, NTFS 차이점

by 일상행복 주식회사 2025. 4. 23.
반응형

하드디스크나 외장하드, USB 등 컴퓨터 저장장치에는 다양한 포맷형식이 있습니다.

이런 저장장치를 포맷할 때 나오는 포맷 형식에는 FAT32, exFAT, NTFS 등이 있습니다.

   
USB에는 도대체 어떤 포맷형식으로 포맷해야 할까요?  
단순히 ‘기본값’으로 두기엔 사용 목적에 따라 큰 차이가 생기기 때문에 이번 글에서 각각의 USB 포맷 형식의 차이점과 추천 상황을 정리해 봤습니다.

 

1. FAT32 – 가장 호환성이 좋은 형식

 

FAT32 포맷형식은 컴퓨터 초기부터 사용했던 방식입니다.
- 거의 모든 운영체제(윈도우, 맥, 리눅스, 심지어 TV나 게임기)에서 인식됨
- 단점: 단일 파일 4GB 이상 저장 불가, 최대 볼륨 크기 32GB로 제한

추천 상황:  
- USB로 영상, 문서 등을 옮길 때  
- 여러 기기와 호환이 필요할 때 (예: TV, 셋탑박스 등)

2. exFAT – FAT32의 한계를 보완한 최신 형식

- 4GB 파일 제한 없음  
- 볼륨 크기 제한도 거의 없음  
- 대부분 OS에서 지원되지만, 옛날 디지털 기기에서는 인식 안 될 수도 있음

추천 상황:  
- 4GB 이상 영상 파일 옮길 때  
- 대용량 USB, 외장 SSD 사용할 때  
- 윈도우와 맥 간 파일 이동할 때 (macOS 기본 지원)



3. NTFS – 윈도우에 최적화된 고급 포맷

- 보안/권한 설정, 대용량 파일, 고속 처리에 강함  
- 맥에서는 읽기만 가능(기본 설정 기준, 쓰기는 불가)  
- 시스템 디스크용 포맷

추천 상황:  
- USB를 윈도우에서만 사용할 경우  
- 윈도우 백업, 설치용 드라이브 만들 때  
- 프로그램, 게임 등을 설치해 사용할 때

 

USB 포맷형식 설정하는 방법

 

해당 USB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

포맷 클릭 → 파일 시스템 드롭다운(FAT32 / exFAT / NTFS 나오는 화면)

 

구분 FAT32 exFAT NTFS
단일 파일 최대 크기 4GB 제한 제한 없음 제한 없음
최대 볼륨 크기 32GB (윈도우 기본 포맷 기준) 이론상 무제한 이론상 무제한
지원 운영체제 윈도우 / 맥 / 리눅스 / TV 등 대부분 윈도우 / 맥 / 리눅스 대부분 윈도우 (맥은 기본 설정에서 읽기만 가능)
권한 및 보안 기능 없음 없음 지원 (암호화, 권한 설정 등)
호환성 매우 높음 중간 (구형 기기 호환성 낮음) 낮음 (윈도우 중심)
추천 용도 문서, 음악, 영상 등 범용 USB 대용량 파일 저장, 맥·윈도우 공용 백업, 시스템용 드라이브, 고급 사용자용

 

 

SB 포맷 형식은 단순히 옵션 중 하나가 아니라  내가 어떤 방식으로 기기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달라져야 하는 설정입니다.  

이 글을 참고하셔서, 포맷 후 후회 없는 저장장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